본문 바로가기
ISSUE

“안 입는 옷, 돈으로 바꾸는 방법! 연말정산 세액공제 꿀팁”

by thebluesun 2025. 1. 18.
반응형

연말정산이 다가오면 세금을 줄일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고민하게 됩니다. 그런데 사용하지 않는 옷을 기부하면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다는 사실, 알고 계셨나요? 옷장 속에 잠들어 있는 옷을 활용해 환경도 보호하고 세금 혜택도 누릴 수 있는 방법을 지금부터 소개합니다.


헌 옷 기부로 세액공제 받는 법


헌 옷을 기부하기 위해서는 정부에서 인정한 비영리단체에 물품을 전달해야 합니다. 대표적으로 아름다운가게, 굿윌스토어, 옷캔 등에서 헌 옷 기부를 받고 있습니다. 이들 단체는 기부받은 물품을 재판매해 수익을 창출하며, 그 수익은 사회복지 사업 등에 사용됩니다.

기부할 의류는 깨끗하게 세탁된 상태여야 하며, 지나치게 낡거나 훼손된 옷은 기부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. 옷을 정리한 뒤 직접 방문하거나 단체에서 제공하는 수거 서비스를 이용하면 됩니다. 기부가 완료되면 해당 단체에서 기부 금액을 평가한 후 기부금 영수증을 발급해 줍니다.

기부금 세액공제는 어떻게 받나요?


발급받은 기부금 영수증은 연말정산 시 지정기부금 항목으로 제출할 수 있습니다. 세액공제율은 기부금액의 15%이며, 근로소득의 30% 한도 내에서 적용됩니다. 만약 1,000만 원을 초과하는 금액에 대해서는 공제율이 30%로 올라갑니다. 예를 들어, 50만 원 상당의 의류를 기부했다면 약 7만 5천 원의 세금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.

주의사항
1. 기부금 영수증 보관 필수
기부금은 국세청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에서 자동 조회되지 않을 수 있으니, 영수증 원본을 반드시 보관하세요.

2. 지정기부금 단체 확인
기부하려는 단체가 국세청에서 인정한 지정기부금 단체인지 사전에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

마무리하며


헌 옷 기부는 단순히 공간을 비우는 일을 넘어 사회에 나눔을 실천하는 일이기도 합니다. 특히 연말정산 시즌에는 이러한 나눔이 세금 혜택으로도 연결될 수 있다는 점에서 더 의미 있는 선택이 됩니다. 올 연말에는 옷장 정리를 하며 헌 옷을 기부하고, 환경 보호와 세액공제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아보세요!

728x90
반응형
LIST